연구활동
메이랩
신진연구자 워크숍 및 연구자 연수를 통해 5·18 관련 연구주제 및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향후 연구 네트워크 확장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자 대상 멘토링,
특강 등 워크숍 개최연구자 대상 연수 및
사적지 답사다양한 5·18특강 개최
연구자 네트워크 플랫폼 마련
-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일시 : 2024. 6. 27.~29.(2박 3일)장소 : 5·18기념문화센터, 5·18사적지. 5·18민주화운동교육관 공동주최 :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5·18민주화운동교육관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은 지난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2박 3일간 국내외 석·박사과정의 대학원생 9명을 대상으로 공동주관 기관인 5·18민주화운동교육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 참가한 신진연구자들은 5·18을 비롯한 자유와 정의, 민주·인권·평화와 관련된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_국립5·18민주묘지 답사_현장사진]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이하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연구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유도하고 5·18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2022년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5·18국제연구원이 주관하고 있다.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과 민주주의 연구에 관심이 있는 국내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술연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올해(2024년) 신진연구자 워크숍에는 수도권 2명, 충청권 2명, 강원권 1명, 경상권 1명, 제주 1명, 국외(미국) 2명 등 다양한 학문 분과의 신진연구자 9명이 참가했다. 특히 이슬빈(밴더빌트 대학원 종교학과) 참가자는 2022년 신진연구자 워크숍에 참여한 이후 5·18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으며, 5·18학술연구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은 신진연구자 워크숍의 방향성과 부합하며, 학문후속세대 양성 및 5·18전문연구자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기획 취지를 잘 드러낸다. 1일차에는 정근식(서울특별시 교육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의 “한국의 이행기 정의”를 주제로 한 <5·18교육>을 시작으로, 2024년 5·18연구논문 및 지정주제 연구논문 포상자를 위한 <5·18논문공모 및 포상자 학술집담회(이하 집담회)>가 진행됐다. 이번 집담회에서는 5·18연구논문 집필자에게 연구주제 발표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연구자와 신진연구자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장이 마련됐다. 2일차에는 박경섭(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연구위원)의 “5·18민주화운동연구의 과제와 방향”이라는 주제로 <5·18특강>이 진행됐다. 같은 날 오후에는 참가자들이 가장 학수고대하던 프로그램인 <전문연구자와 신진연구자 간 그룹별 멘토링 및 네트워킹> 일정이 이어졌다. 3일차에는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시작으로 5·18사적지 답사가 진행됐다. 박진우(5·18기념재단 사무처장)의 안내로 5·18신진연구자들은 다양한 연구 시각으로 사적지에 접근할 수 있는 해설을 들으며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과 전일빌딩245의 협조를 통해 참가자들은 전문적인 해설을 들으며 5·18사적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 기회를 가졌다. 한 참가자가 “민주주의, 인권, 역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는 모두 광주 연구자”라는 소감을 남긴 것처럼, 5·18국제연구원은 이 문장을 기억하며, 5·18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술연구공모사업 및 공동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5·18신진연구자 워크숍의 프로그램과 참가자들의 다양한 소감은 <이슈리포트>(2024.12월 발행 예정)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담당자] 5·18국제연구원 김혜선(062-360-0573)
2024-11-20
-
[보도자료 2023-66]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개최
보도자료 2023-66호보 도 자 료2023년 8월 18일www.518.org‘5월 18일’을 유엔(UN)지정‘세계 군사·권위주의 방지의 날’로!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전화 062-360-0518팩스 062-360-0519The May 18 Foundation152 Naebang-ro Seo-gu Gwangju,61965, Republic of KoreaTelephone +82-62-360-0518Fax. +82-62-360-0519담당부서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책임자실장 유경남 (062-360-0571)담당자담당 노소윤 (062-360-0572)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개최- 일본 히토츠바시대학 대학원생 등 11명, 2023. 8. 17-18. 광주 일대-- 5·18 연구현황, 연구자료 활용방법 등 5·18특강 및 5·18묘지 참배 - 5·18국제연구원(5·18기념재단 산하)이 주관하는 <2023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 “May Lab”>이 8월 17일부터 18일까지의 1박 2일 일정으로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 연구자 육성 및 연구 관심 증대를 위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진행 중에 있다. 올해에는 일본 및 네덜란드 출신 대학원생 등 전국의 석·박사과정 대학원생 11명이 참가하였다. 해당 워크숍은 5·18특강 및 5·18묘지를 참배하고 5·18민주화운동이 한국사회와 아시아에 가지는 지성사적/인류사적 의미를 경험하고 공유하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특별강연은 최정기(전남대 사회학과) 교수와 소준철(사회학자) 박사가 맡았다. 최정기 교수는 1980년의 경험과 이후 5·18연구의 개인적 경험 바탕으로 오늘날 5·18연구에 제기되고 있는 “진실”, “원형” 그리고 “용서와 화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소준철 박사는 ‘연구자료의 수집과 활용’을 주제로 실용적인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워크숍 참가자들은 각자의 전공과 관심분야에 따라 최유준(전남대 호남학과 교수), 양라윤(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전문위원), 이연숙(전남대 사학과 강사), 이상훈(전남대 불문과 강사), 이정연(국가기록원 학예연구사), 유경남(5·18국제연구원 연구실장) 등 전문연구자의 멘토링을 통해 자신의 연구주제를 공유하고 향후의 연구계획을 발전시키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워크숍 참가자들은 국립5·18민주묘지와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을 참배/답사하였다. 해당 답사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이 한국을 넘어 아시아 및 인류에 던지는 지성사적 의미를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2022년 처음 시작된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 다음 세대의 연구 진흥을 목적으로 5·18의 현장에서 5·18 연구의 의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 연구자료 이해, 연구자 네트워킹 등 전국 석. 박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원순석(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워크숍 참가자들에게 “1980년 5월 이후 망월동 5·18묘역 그리고 광주를 찾아왔던 수많은 사람들은 5·18질문을 가지고 돌아갔고, 그 질문이 한 개인의 삶은 바꾸고 우리 사회를 바꾸었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얻은 질문을 각자의 연구로 발전시키기를 당부했다. 5・18국제연구원은 향후 아시아 및 전세계 연구 네크워크를 통해 5·18신진연구자 워크숍-“May Lab”을 홍보하고 5·18 연구자 육성에 힘쓸 예정이다. 또한 5·18민주화운동 및 한국의 자유와 정의 그리고 민주인권평화에 대한 역사와 의미를 이해하고,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연대활동을 지원하고자 한다. ※ 문의.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062-360-0572)※ 붙임. 현장 사진 5부. 끝.
2023-11-30
-
2023년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참가자 모집(~7.16)
2023년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may lab="" style="margin: 0px; padding: 0px;">참가자 모집</may>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은 5·18을 비롯한 민주주의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신진연구자의 연구주제 및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향후 학술연구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관심 있는 연구자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1. 개요○ 행사명 : 2023년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일시 : 2023. 8. 17.(목) 10:00 ~ 8. 18.(금) 15:00○ 장소 : 5·18기념재단 및 옛 전남도청 일원○ 모집인원 : 15명 내외○ 주최/주관 :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2. 모집대상○ 5·18 및 민주주의 연구에 관심이 있는 석사 과정(수료) 이상 혹은 박사 과정(수료)생 3. 참가접수○ 공고 게시 : 2023. 6. 26.(월) ~ 7. 16.(일)○ 참가 접수 : 2023. 6. 26.(월) ~ 7. 16.(일) 23:59○ 참가 안내 : 2023. 7. 19.(수) 예정, 참가자 개별 안내○ 접수 방법 : 공고 내 첨부된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로 접수 제출 - 작성 서류 : 인적사항 및 연구계획서 2~3장 내외○ 접수처 : nohsy12@518.org 4. 프로그램○ 5·18 연구를 위한 특강 <연구자에게 5·18이란?>○ 연구주제 공유 및 그룹별 멘토링○ 5·18 연구논문 집필과정 공유○ 5·18사적지 답사 등 5. 기타 사항○ 식사 및 숙박이 제공됩니다.○ 광주 외에서 참여하는 참가자의 경우 왕복 교통비를 제공합니다.○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제출된 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사실과 다름이 확인된 경우 참가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참가를 취소하는 경우 사전에 통보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노소윤 (062-360-0572, nohsy12@518.org)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