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민과 연구자를 위한
5·18
국제연구원 The May 18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국제연구원 The May 18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518#광주#민주화
#역사의기억#오월정신
#역사의기억#오월정신
News알림공고
-
5ㆍ18기념재단-한국여성학회 공동학술대회 <2030 '여성'과 광장 - 다시 쓰는 민주주의> 개최5ㆍ18기념재단-한국여성학회 공동학술대회 <2030 '여성'과 광장 - 다시 쓰는 민주주의> 개최 - 일시 : 2025. 7. 4. (금) 12:00 ~ 18:00- 장소 : 덕성여자대학교 종로운현캠퍼스 평생교육원 D406호- 공동주최 : 5ㆍ18기념재단, 한국여성학회, 덕성여대 차미리사교양교육연구소- 세부프로그램 구분시간주요내용세션 112:00 ~ 13:45주제투쟁의 기억과 오늘의 광장발표 1“1980년 5·18민중항쟁에 참여한 여성들과 한국민주주의)”- 김종분(광주시민공동체라디오)발표 2“여자대학의 곤란: 주목경제와 인정투쟁”- 신소현(서강대 여성학협동과정 석사수료), 김강리(이화여대 예술학전공 석사수료)발표 3“대학이 광장이 될 때: 2022년 A여자대학의 청소노동자 시위와 소외 경험”- 김수빈(덕성여대 문화인류학전공 학사과정)발표 4“광장의 연대 정치와 노동조합: 전국대학원생노조의 여성/퀴어 조합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다희(서울대 비교문학협동과정 석사과정), 강다겸(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장선아(동국대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전유진(명지대 아동학과 박사과정)13:45 ~ 14:00휴식세션 214:00 ~ 15:45주제광장을 가로지르는 여성들과 민주주의의 수행성발표 1“2030 여성들의 공연예술 문화 소비 경험과 집회 문화의 퍼포먼스성”- 안건우(서울대 공연예술학협동과정 석사과정), 정수미(서울대 공연예술학협동과정 석사과정)발표 2“창원 지역 탄핵집회를 통해 본 ‘3세대 개인들’의 행위성: 젠더관점을 중심으로”- 김효영(국립창원대 국제관계학과 석사졸업)발표 3“‘안전’의 상호구성과 광장의 정치학: 2024-2025 대구시민시국대회를 중심으로”- 김민정(계명대 여성학과 석사과정)발표 4“여성과 민주주의: 정치전략으로서 반페미니즘과 여성의 정치세력화”- 유민주(경상국립대 사회학과 학사과정)15:45 ~ 16:00휴식세션 316:00 ~ 18:00주제광장의 미디어 정치와 상징의 재구성발표 1““#빛에서_바람으로”: ‘깃발 흔들기’로 재구성되는 여성광장 정치”- 황채린(전북대 사회학과 박사과정)발표 2“새로운 광장정치: K-pop의 민중가요화와 2030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 유하영(이화여대 사회학과 석사과정)발표 3“기수를 통해 보는 광장의 다양한 가능성: 여성과 여성화된 주체를 중심으로”- 김영우(연세대 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폐회18:00 ~ <o:p></o:p>2025. 06. 23
-
2025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개최(6.26.~6.28.)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개최연구자로서 성장하고, 국내외 연구자와 교류하며5ㆍ18연구의 중심에서 새로운 시각을 확장할 기회!5ㆍ18기념재단이 주최하는 2025 "May Lab"을 개최합니다. ○ 행사명 : 2025년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일시 : 2025. 6. 26.(목) ~ 28.(토)○ 장소 : 5·18기념재단, 5·18사적지 일원○ 주최/주관 : 5·18기념재단○ 프로그램 일정 일자주요 프로그램1일차 (6.26.목)연구 세미나 참관* 2025년 5·18연구논문 포상자 성과 공유회 참관* 연구자 간 네트워크 구축2일차 (6.27.금)5·18 관련 특강* 김민환(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교수) 특강 진행연구자 그룹별 멘토링* 참가자별 연구 주제를 발표 후, 전문가 피드백* 제출한 연구계획서를 기반으로 전문가 초빙 및 자문* 2025년 초빙 전문가 명단 연번이름소속 및 직책1이영진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2지병근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3정경운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3일차 (6.28.토)5·18 사적지 답사* 국립 5·18민주묘지· 망월동 민주열사 묘역 참배* 전일빌딩, 5·18민주화운동 기록관 등 안내해설사와 답사 ○ 문의 : 5·18국제연구원 담당자 (062-360-0577, zero@518.org)2025. 06. 23
-
[후원]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주최 학술대회 "동아시아 재난과 이주, 공동체의 연대" (5.23. ~ 24.)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주최 학술대회동아시아 재난과 이주, 공동체의 연대 ◆ 일시 : 2025. 5.23.(금) ~ 24.(토)◆ 장소 : [대면] 조선대 본관 4145 강의실 [비대면] ZOOM (ID) 869 9672 4137 (PW) 1234 ◆ 세부일정 -첫째 날: 2025. 5. 23.(금) 9:40 ~ <o:p></o:p>순서시간내용비고제1부개회식9:40~10:00개회사 1: 강희숙(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장)개회사 2: 야마요시유키(간세이가쿠인대학 재해부흥제도연구소장)축사 1: 김춘성(조선대학교 총장)축사 2: 원순석(5·18기념재단 이사장)제2부기조발제10:00~10:50재난 이주공동체와 지역사회의 연대발표: 야마 요시유키(간세이가쿠인대학) 진행: 김나영(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11:00~11:50재난 이주 담론의 양상: 디아스포라에서 모빌리티로발표: 김치완(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점심시간 (11:50 ~ 13:00)제3부주제발표 113:00~13:40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고려인의 모빌리티와 광주 '고려인 마을' 공동체의 확장발표: 고가영(서울대 아시아연구소)토론: 한순미(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진행: 김진선(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 13:40~14:20재일제주인 1세의 머묾과 떠남의 정치학발표: 권준희(캘리포니아대)토론: 이령경(성공회대)14:20~15:00중국 재난 문화의 지역적 양상: ‘하남양’을 중심으로발표: 천안(중국과학원과기전략자문연구원)토론: 이석현(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휴식(15:00 ~ 15:20)제4부주제발표 215:20~16:40잃어버린 고향,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일본 재난 이재민의 삶과 과제발표: 라정일(간세이가쿠인대학) 토론: 조관자(서울대 일본연구소)진행:박경섭(5·18기념재단)16:40~17:20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재독 한인 디아스포라발표: 최현덕(튀빙겐대)토론 : 이희영(대구대)제5부리셉션17:20~강희숙(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장) 둘째 날: 2025. 5. 24.(토) 10:00~17:00 제1부주제발표 310:00~10:40조해진의 「단순한 진심」에 나타난 입양아의 자기찾기에 대한 연구발표: 김주선(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토론: 김영삼(전남대)진행:양명희(중앙대)10:40~11:20재미 한인 소설에 재현된 4·29 폭동발표: 강진구(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토론: 김혜진(조선대)11:20~12:00지구화시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추방자 혹은 탈주자발표: 구재진(세명대)토론: 김진철(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점심시간 (12:00 ~ 13:30)제2부특별 행사13:30~15:305·18과 남도 역사·문화 기행- 참배, 신묘역 및 구묘역 탐방15:30~17:00담양(남도) 소쇄원, 식영정2025. 05. 21
-
최정기 5ㆍ18국제연구원장, 2025년 4월 21일 공식 취임최정기 5ㆍ18국제연구원장, 2025년 4월 21일 공식 취임최정기 전남대 사회학과 명예교수가 2025년 4월 21일부로 5ㆍ18기념재단 5ㆍ18국제연구원 원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최 원장은 오랜 기간 한국 사회의 지배와 저항, 사회운동, 일탈과 통제 메커니즘 등을 주제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특히 5ㆍ18민주화운동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실천적 활동으로 학계와 시민사회에서 주목받아 왔다. 전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03년부터 전남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국가폭력과 사회적 트라우마, 기억의 정치, 이행기 정의, 과거 청산, 5ㆍ18민주화운동 등 한국 사회의 역사적 사건과 사회적 통제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 등을 연구했다. 특히 5ㆍ18민주화운동과 관련해서는 전남대학교 5ㆍ18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학술적 연구와 사회적 실천을 병행했다. 5ㆍ18 진상규명 및 기억과 기념 관련 연구를 하면서 관련 학술대회와 집담회를 주최하여 5ㆍ18의 역사적 의미와 현재적 함의를 조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번 취임을 통해 최정기 원장은 5ㆍ18 진상규명과 함께 5ㆍ18민주화운동의 국제적 연대를 적극적으로 이끌며, 5ㆍ18의 역사적 의미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보편적 가치 확산에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2025. 0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