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국제연구원

세계 시민과 연구자를 위한 5·18
국제연구원
The May 18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518#광주#민주화
#역사의기억#오월정신

News알림공고

더보기

ResearchAcademic Publications

5·18국제연구원, 5·18국제포럼 성공적으로 개최 - ‘5·18’과 “책임”에 대한 상상력을 가지자!
5·18국제연구원, 5·18국제포럼 성공적으로 개최 - ‘5·18’과 “책임”에 대한 상상력을 가지자!
5·18국제연구원, 5·18국제포럼 성공적으로 개최- ‘5·18’과 “책임”에 대한 상상력을 가지자!!! -- 사랑받았던 광주의 책임 묻기도…. ‘미래의 책임’ 공감- 5·18국제연구원, 수행적 연구기관으로써 시민들의 물음에 주목할 것 5·18국제연구원(5·18기념재단 이사회 산하 학술연구소)은 11월 2일부터 4일까지 5·18기념문화센터에서 ‘5·18과 책임’을 주제로 하는 “2023 5·18국제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2일(목)에는 아카이브 전시, 연구자‧시민들이 참여하는 개막 리셉션 및 다큐상영회, 3일(금)에는 다양한 영역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5·18과 책임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서로 묻고 토론하는 학술회의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날인 4일(토)에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회의를 통해 포럼의 평가와 2024년 5·18국제포럼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11월 2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연계아카이브 전시 및 특별세션 ‘문화예술 속 5·18과 책임’ (발제자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교 이솔 교수) 11월 2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리셉션 및 ‘좋은 빛 좋은 공기’ 상영회에 참석한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 ‘에밀리아노 와이셀피츠’ 11월 2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좋은 빛, 좋은 공기’ 상영회 후 임흥순 감독과의 대화(사회 강소희 박사)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열린 2023 5·18국제포럼 – 5·18국제학술회의는 주제 ‘책임이란 무엇인가’의 오전 기조발표와 ‘역사적 사건과 책임’, ‘5·18과 사회적 책임’을 다루는 오후 주제발표로 진행되었다. 기조발표자 ▲도미야마 이치로 교수는 “책임의 문제는 윤리의 문제 이전에 문답무용의 폭력을 예감하면서 말의 질서를 어떻게 바꾸어 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한 사람 한 사람이 사건에 응답해 갈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그 과정이 계속되기 위해서는 말과 관계가 만들어지는 장(場)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冨山一郎, 도시샤대학교 글로벌스터디즈/ ‘관계성으로서의 책임: 폭력, 그 후를 생각한다(원제: 関係性としての責任―暴力、その後を考えるー)). 두 번째 기조발표자 ▲김상봉 교수는 “주체의 가해행위의 유무에 따라 책임의 윤리와 응답의 윤리를 구분하고,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결단 속에서 생겨나는 자유, 관계성을 강조하며 공동의 책임을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전남대학교 철학과, ‘응답의 윤리와 책임의 윤리 사이에서-5·18과 윤리의 문제’). ▲이영진(강원대 문화인류학과)의 사회로 진행된 기조발표자의 대담에서 김상봉 교수는 ‘1980년 이후 전국의 수많은 사람들이 5·18에 응답했던 역사를 상기하며, 사랑받았던 광주가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책임을 생각해야 한다며 미래의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11월 3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5·18국제학술회의 ‘5·18과 책임’ 오전 기조발표, 유튜브 생중계 갈무리 오후에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 ▲박경섭(5·18국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계엄군의 책임을 계속 물을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인 개개인의 이름을 명기하며 그들의 행위를 명확히 하는 것, 그 한 가지 방법으로 ‘시민법정’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고 하면서 지금 20~30대와 “책임”이라는 말로 5·18을 이야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새로운 상상력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강현정 박사(전남대 철학과)는 계엄군에게 5·18의 책임을 물었을 때, 예측 가능한 그들의 변명에서 어떠한 윤리적 합리성을 갖기 어려우며, 때문에 가해와 책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하여 ▲정대성 교수(부산대 역사교육학과 교수)는 토론에서 진실규명이라는 단순한 명제보다 ‘가해의 지형도’를 구체적으로 다시 그려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김헌준 교수(고려대 정치외교학과)는 한국의 이행기 정의에서 5·18은 큰 봉우리와 같다고 말하며, 이행기 정의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기 때문에 ‘책임’에 대한 논의를 계속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11월 3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5·18국제학술회의 ‘5·18과 책임’ 오후 주제발표, 유튜브 생중계 갈무리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데이비드 버터워스(독립연구자, 영국 노섬브리아대학교)의 논문인 ‘지미카터 행정부의 인권외교정책과 한국에의 적용(원제: The human rights foreign policy of the carter administration and its application in South Korea’)이 발표되었다. 독립연구자로 5·18에 대해 연구하는 그는 장성에서 외국어 교사로 일하면서 한국의 역사, 특히 5·18과 지미 카터 행정부에 대한 관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고 전하며 5·18국제학술회의에 참여한 소감을 전했다. 미국의 인권정책으로 5·18민주화운동을 분석한 그의 논문은 지엽적으로 시도되었던 5·18민주화운동과 미국 행위자의 연관성을 확장하는 시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유경남 5·18국제연구원 연구실장의 사회로 진행된 종합토론은 ▲김민환(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심정명(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김재형(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이경주(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계원(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 ▲정대성(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이솔(뉴욕주립대학 스토니브룩) 등 기조발표자, 사회자, 토론자 등 모두의 참여로 진행됐다. 학술회의 참석한 연구자들은 도미야마 이치로 교수이 강조한 바와 같이 기존의 ‘가해자의 책임’ 묻는 방식을 뛰어, 가해행위를 구체화 하는 것, 시민(모의)법정을 상상해 보는 등 여러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말’와 ‘실천’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공론장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특히 김상봉 교수는 ‘미래의 책임’에 관한 청중의 질문에, 한국의 민중운동사에서 5·18 그리고 광주가 특별한 이유는, 광주 밖의 사람들이 광주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했다는 역사적 사실, 응답해주었던 사람들을 위해, 그 어디보다 사랑받았던 광주가,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 성찰하고 새로운 실천을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11월 3일에 열린 5·18국제포럼 5·18국제학술회의 ‘5·18과 책임’ 종합토론, 유튜브 생중계 갈무리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명백한 국가폭력 사건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고, 진실규명에 앞장서야 한다”며 “5·18국제포럼을 통해 5·18역사를 올바르게 정의하는 지혜와 의지가 응집되고 실천되기 바란다”며 5·18국제연구원의 첫 국제학술행사를 격려했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개막 리셉션에서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의 방문을 환영하고, 국가폭력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고유하는 두 나라의 지속적인 교류와 연대를 약속했다”, 나아가 “5·18국제연구원을 디딤돌로 5·18민주화운동과 자유와 정의, 민주‧인권‧평화 등 5·18정신을 확산시킬 수 있는 학술 담론을 축적하고 세계 시민들과 공유해 나가겠다며 앞으로의 5·18국제연구원의 역할과 포부를 밝혔다. 11월 3일 학술토론회 유튜브 링크 :https://www.youtube.com/live/Sa-puCEzKss?si=OmoViqWF-bSXqj8y 5·18국제포럼 포스터 ※붙임: 현장 및 5·18국제포럼 사진 20부.※자료집:https://518.org/nsub.php?PID=0201&action=Read&idx=2951※문의: ksj@518.kr / 062-360-0574. 끝.
2023. 11. 30
5·18기념재단-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성료
5·18기념재단-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성료
 5·18기념재단-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성료- 광주, 라이프치히, 키이우를 연결하다 -   11월 1일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개최된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에서 기조발제자 '만프레드 헤틀링'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11월 1일부터 2일까지 열린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 독재에서 민주주의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독재에서 민주주의로”를 대주제 아래 광주, 라이프치히, 키이우에서 국가폭력과 시민혁명을 기억하는 방식을 다각도로 탐구하며 학술적·사회적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였습니다. <첫째 날, “기조세션 : 기억의 매커니즘. 민주주의 혁명의 상징적 장소로써 광주, 라이프치히, 키이우”>첫날 오후 1시에 진행된 기조세션은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김형주 교수의 사회로 시작되었습니다. △ 마틴루터대학교의 역사학자인 만프레드 헤틀링(Manfred Hettling) 교수가 기조발제를 통해 국가폭력과 시민저항 간의 상호작용이 기억과 기념의 흐름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탐구했습니다. 헤틀링 교수는 광주의 5·18민주화운동을 라이프치히와 키이우의 민주화운동과 비교하며, 각 도시의 역사적·문화적 문맥에서 민주화운동의 의의를 분석했습니다.이어진 주제발표에서는 △ 레겐스부르크대학교의 역사학자 귀도 하우스만(Guido Hausmann) 교수사 ‘2014년 마이단 시위’의 역사적 맥락과 정치적 변화를 조명하며, 민주화운동 발발 지역의 기념관과 박물관이 역사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사례와 그 한계를 제시했습니다.△ 에터스베르크재단의 외르크 간첸뮐러(Jörg Ganzenmüller) 이사장은 현대 사회의 기념방식이 직면한 한계를 다루었습니다. 대규모 추모와 기념행사가 전개되는 방식의 한계와 현대적 기념방식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독일의 기념관과 박물관이 현대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역사를 전달하지 못하는 현실을 분석하며, 같은 역사를 가진 광주 시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극복하자는 협력 의지를 피력했습니다.마지막으로, △ 마틴루터대학교의 역사학자 정성윤은 민주화운동 기념 관행에서 희생자에 대한 애도의 진정성을 재조명했습니다. 그는 민주화운동 서사가 정치적 상황에 따라 대상화되는 경향과 한국 사례를 바탕으로 민주화운동 서사의 변화 과정을 분석했습니다. <둘째 날, “에터스베르크재단과 라이프치히에서의 전시와 교육”>둘째 날 진행된 세션은 고려대학교 사학과 최호근 교수의 사회로, 에터스베르크재단 및 독일의 기념 기조와 사례를 광주의 시민들에게 공유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라이프치히대학교의 역사학자 알폰스 켄크만(Alfons Kenkmann)은 냉전 구도가 박물관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이데올로기적 내러티브를 해체하고 최신 학술연구를 반영한 박물관 전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첫째 날에 이어 △ 귀도 하우스만 교수는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마이단 광장에서 벌어진 시위의 역사와 정치적 흐름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마이단 광장이 폭력적 갈등 속에서도 민족 주권과 국가 독립을 위한 투쟁의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한 과정을 설명하며, 광주 시민에게 이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예나대학교 역사연구소의 앙케 욘(Anke John) 교수는 기념시설의 교육적 효과를 다양한 사례와 통계로 분석하며, 기념기관이 보다 나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에터스베르크재단의 유디트 마이어(Judith Mayer) 학예실장은 재단이 추진 중인 전시, 문화, 교육 사업을 소개하며, 독일 기념 방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재단은 ‘안드레아스 슈트라세 기념교육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대민 서비스를 운영하며 현대적 기념 방식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활발한 토론과 의견 교류>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양한 참여자들의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초·중·고 교사들의 참여가 두드러졌습니다. 교사들은 5·18민주화운동을 교육 현장에서 가르치는 책임감과 경험을 공유하며,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습니다.에터스베르크재단은 스페인 작가이자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의 생존자인 호르헤 셈프룬에 의해 2002년에 설립된 기념 및 연구 재단입니다. 5·18기념재단은 국내외 유수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을 비롯한 세계적 민주화운동의 ‘자유와 정의’, ‘민주·인권·평화’를 연구하는 국제 학술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질문하는 만프레드 헤틀링 교수 질의응답 중인 외르크 간첸뮐러 이사장과 관중석 발표중인 정성윤 단체 사진 촬영 중인 참가자들  첫째 날 라운드테이블 둘째 날 라운드 테이블※ 문의 : 5·18국제연구원 강시진 (062-360-0574)
2024. 12. 09
<2024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2024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2024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공동학술대회 :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은 에터스베르크재단과 공동개최하는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정중히 초청합니다.에터스베르크재단은 스페인 작가이자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의 생존자인 호르헤 셈프룬(Jorge Semprún)에 의해 2002년에 설립된 기념 및 연구 재단입니다. 에터스베르크재단은 유럽의 정치 및 독재 체제를 탐구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독일 독재 역사에 접근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민주주의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5·18기념재단은 독재와 폭력의 역사를 공유하고 이를 민주적 방식으로 기념하는 에터스베르크 재단과 학술대회 공동 개최를 통해서 한국과 독일의 기념 및 교육 방식의 진지한 논의를 추진하고자 합니다.행사일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다음 ---일시 : 2024년 11월 1일 – 3일장소 : 5·18기념재단 및 광주 일대공동주최 : 5·18기념재단, 에터스베르크재단 상세일정11월 1일(금) : 세션 1주제독재에서 민주주의로 – 광주, 라이프치히, 키이우에서의 국가폭력과 시민혁명을 기억하는 법사회김형주(전남대학교 5·18연구소)기조발제13.15 - 13.30"민주주의 봉기들을 기억하는 법”만프레드 헤틀링(마틴루터 할레 비텐베르크 대학교)발제13.30 - 14.15"2013/14년의 키이우 – 새로운 기억장소들의 형성과 변화”귀도 하우스만(레겐스부르크대학교)14.15 - 15.00"1989년의 라이프치히 – 사건과 기억”외르크 간첸뮐러(애터스베르크재단)15.00 - 16.00"깨어있는 기념 - 1980년부터 2024년까지 광주에서 기억의 형식들” 정성윤(마틴루터 할레 비텐베르크대학교)지정토론16.30 - 18.00정용숙(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김태현(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11월2일(토) : 세션 2주제에어푸르트 에터스베르크 재단과 라이프치히에서 전시와 교육사회최호근(고려대학교 사학과)발제13:30 - 14:00"박물관과 냉전 또는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냉전 교육“알폰스 켄크만(라이프치히대학교)14:00 - 14:15청중질의14:15 - 14:45"키이우에서 마이단을 기억하는 법 2013/14 - 2022 – 박물관 설립 계획과 결정의 지연", 귀도 하우스만(레겐스부르크대학교)14:45 - 15:00청중질의15:00 - 15:10휴식15:10 - 15:40"역사적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 독일의 경험”앙케 존(예나대학교)15:40 - 15:55청중질의15:55 - 16:25"에터스베르크재단 / 에어푸르트 안드레아스 거리 기념관에서 전시와 교육활동”, 유디트 마이어(에터스베르크재단)16:25 - 16:40청중질의라운드테이블16:40 - 17:405월과 독일의 미래 : 논평과 제안데이비드 백(지정토론자), 참가자 전원11월3일(일) : 5·18기념재단 – 에터스베르크재단 – 광주 교사 간담회간담회13:00 – 14:00독일, 한국 민주화운동 기념의 방식과 교육의 나아갈 방향 논의  ※ 문의 : 5·18국제연구원 담당자(☎ 062-360-0574 / ✉ ksj@518.org)
2024. 12. 09

연구지원

연구지원 더보기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일시 : 2024. 6. 27.~29.(2박 3일)장소 : 5·18기념문화센터, 5·18사적지. 5·18민주화운동교육관 공동주최 :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5·18민주화운동교육관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은 지난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2박 3일간 국내외 석·박사과정의 대학원생 9명을 대상으로 공동주관 기관인 5·18민주화운동교육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 참가한 신진연구자들은 5·18을 비롯한 자유와 정의, 민주·인권·평화와 관련된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4 5·18신진연구자 워크숍_국립5·18민주묘지 답사_현장사진] 5·18신진연구자 워크숍 <May Lab>(이하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연구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유도하고 5·18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2022년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5·18국제연구원이 주관하고 있다. 신진연구자 워크숍은 5·18과 민주주의 연구에 관심이 있는 국내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며,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술연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올해(2024년) 신진연구자 워크숍에는 수도권 2명, 충청권 2명, 강원권 1명, 경상권 1명, 제주 1명, 국외(미국) 2명 등 다양한 학문 분과의 신진연구자 9명이 참가했다. 특히 이슬빈(밴더빌트 대학원 종교학과) 참가자는 2022년 신진연구자 워크숍에 참여한 이후 5·18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으며, 5·18학술연구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은 신진연구자 워크숍의 방향성과 부합하며, 학문후속세대 양성 및 5·18전문연구자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기획 취지를 잘 드러낸다. 1일차에는 정근식(서울특별시 교육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의 “한국의 이행기 정의”를 주제로 한 <5·18교육>을 시작으로, 2024년 5·18연구논문 및 지정주제 연구논문 포상자를 위한 <5·18논문공모 및 포상자 학술집담회(이하 집담회)>가 진행됐다. 이번 집담회에서는 5·18연구논문 집필자에게 연구주제 발표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연구자와 신진연구자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장이 마련됐다.  2일차에는 박경섭(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연구위원)의 “5·18민주화운동연구의 과제와 방향”이라는 주제로 <5·18특강>이 진행됐다. 같은 날 오후에는 참가자들이 가장 학수고대하던 프로그램인 <전문연구자와 신진연구자 간 그룹별 멘토링 및 네트워킹> 일정이 이어졌다.   3일차에는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시작으로 5·18사적지 답사가 진행됐다. 박진우(5·18기념재단 사무처장)의 안내로 5·18신진연구자들은 다양한 연구 시각으로 사적지에 접근할 수 있는 해설을 들으며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과 전일빌딩245의 협조를 통해 참가자들은 전문적인 해설을 들으며 5·18사적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 기회를 가졌다. 한 참가자가 “민주주의, 인권, 역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는 모두 광주 연구자”라는 소감을 남긴 것처럼, 5·18국제연구원은 이 문장을 기억하며, 5·18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술연구공모사업 및 공동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5·18신진연구자 워크숍의 프로그램과 참가자들의 다양한 소감은 <이슈리포트>(2024.12월 발행 예정)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담당자] 5·18국제연구원 김혜선(062-360-0573)
2024. 11. 20

연구협력

연구협력 더보기

이슈리포트Issue
Report

MIRI Report 2025 "Commemoration"
MIRI Report 2024 "기념"
2024 오월리포트
  • MIRI Report 2025 "Commemoration"
     
  • MIRI Report 2024 "기념"
             
  • 2024 오월리포트
      2024 오월리포트 "거짓"에 관한 유언, 진실의 과제:5ㆍ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개별보고서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박경섭 5ㆍ18기념재단 5ㆍ18국제연구원 연구위원유경남 5ㆍ18기념재단 5ㆍ18국제연구원 연구실장        
MIRI Report 2025 "Commemoration"
MIRI Report 2024 "기념"
2024 오월리포트
최근 본 콘텐츠
최근 본 콘텐츠가 없습니다.

찾고 있는 키워드가 있으신가요?

추천키워드

자유와 정의,
민주·평화·인권의
실현을 위한
5·18
국제연구원

5·18의 기억1980년 5월 19일

5·18의 오늘2024년 5월 19일